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교과목소개

▮ 교양과목

 

패션정보능력(Fashion information ability)

패션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컴퓨터를 활용한 정보 수집, 분석, 활용하는 능력을 기르고 테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실무에 적용하는 능력을 실습한다.

패션기술능력(Fashion technical skill)

패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기술을 이해하고, 패션제작 업무에 기술적 문제와 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힌다.

  

▮ 전공과목

 

취,창업 멘토링(1)

취업 및 창업에 필요한 진로검사를 진행하여 본인의 성향을 이해하고 진로를 결정하며, 개인별 진로에 맞는 진로탐색 스킬을 개발한다.

취,창업 멘토링(2)

직업가치관 검사를 통하여 본인의 직업 성향을 이해하고, 취업 및 창업에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며, 개인별 진로 목표 로드맵을 수립한다.

취,창업 멘토링(3)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찾아보고, 진로 수정에 따른 입사 서류를 준비한다. 또한 창업에 필요한 계획을 세우고 비즈니스모델 수립 시킬을 갖추도록 학습한다.

취,창업 멘토링(4)

취업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 검색 방법 및 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 스킬을 갖추도록 하고, 창업 준비 중인 학생을 위한 창업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취,창업 멘토링(5)

수정된 진로에 맞는 이력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고, 창업 준비중인 학생을 위한 창업관련 전략 수립 및 성공창업과 관련된 스킬을 학습한다.

취,창업 멘토링(6)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를 수정하고, 워크넷, 잡코리아, 사람인에 취업정보를 등록한다, 취업과 관련하여 1분 자기소개를 완성하고 면접 스킬을 높여 모의면접을 실시하고, 창업과 관련하여 창업전략과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한다.

방학 현장실습  / 학기제 현장실습

학교에서 이론과 실습을 통해 습득한 패션관련 지식과 기술을 패션현장에 실제 적용해 봄으로써 패션산업현장의 직무능력을 습득하고 줄업 후 현장 적응 능력을 높인다. 특히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현장에서의 차이를 파악하여 부족한 지식 및 기술을 졸업 전에 습득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취업의 기회를 확대하고, 업체의 문화와 기술 등을 체험하여 졸업 후 진로를 결정짓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1-1 학기

 

패션디자인, 패션비즈니스 공통

 

20세기 패션분석(20C Fashion)

20세기 현대패션의 사회문화적 배경, 대표적인 패션룩, 디자이너들을 학습하여 패션 트렌드의 방향 및 영향 요인을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시대별 문화 아이콘 역할을 한 패션 자료의 수집 및 분석 실습을 통해 아이디어 발상 능력을 실습한다. 

플랫패턴디자인(Flatpattern Making) 

인체구조에 따른 인체치수와 패턴 size를 이해하고 인체형태에 따른 패턴메이킹을 학습한다. 하반신 기본패턴을 활용하여서 여러가지 디자인의 skirt 패턴메이킹을 실습하고 창의적디자인에 따른 패턴메이킹 능력을 학습한다.

패션컴퓨터디자인(Fashion Computer Design)

패션 디자인을 위한 필수 도구인 그래픽 프로그램 어도비 포토샵을 통해 디자인 표현능력을 습득하고, 특히 포토샵 숙련도에 따라 수작업으로 디자인하는 것보다 정교한 연출과 수정 및 편집이 자유로운 장점을 통해 부가가치가 높은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패션디자인기획(Fashion Design Planning)

패션 디자인 개발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시즌 콘셉트를 선정하여  컬러 및 스타일을 기획하고 관련 맵 제작을 실습한다.

의복구성(1)(Clothing Construction(1))

의복구성을 위한 기초 봉제기법을 익히고, 아이템별 의복의 구조적 특성 및 제작 원리를 이해하여 스커트∙ 팬츠 디자인에 따른 의복을 직접 제작한다.

의복과색채(Fashion & Color)

색채의 기본 요소와 성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패션 코디네이션의 개념을 이해하고. 패션 콘셉트에 따른 컬러 기획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1-2 학기

 

패션디자인, 패션비즈니스 공통

 

패션디자인실습 (1)(Fashion Design Practice(1))

소비자 요구에 맞는 상품제작을 위한 적절한 디자인 수정작업 및 디자인 기획을 위한 능력을 학습한다.

패션일러스트레이터(Fashion Illustrator)

그래픽소프트웨어 일러스트레이터의 구조 및 프로그램의 특징을 이해하고 활용능력을 습득하여 패션도식화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패션소재연구(Fashion Material Study)

패션에 있어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에 접근하고 패션제품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가 어패럴 소재의 선택이다. 그러므로 소재의 특성에서 표현되는 감성적인 느낌과 현장에서 실제로 요구되는 소재에 대한 지식을 학습한다.

패션마케팅(Fashion Marketing)

패션의 개념을 상품의 개념에서 접근하여 마케팅의 기본 이론을 이해하고, 패션 제품화 과정과 기업의 마케팅 즉, 패션상품전략, 패션가격전략, 패션촉진전략, 패션유통전략을 이해하여 패션상품 생산과 판매의 전 과정과 마케팅 전략 기법을 습득한다.

패션일러스트레이션(1)(Fashion Illustration(1))

인체의 형태와 비례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하여 기본 포즈 스케치를 학습한다. 패션 디자인의 표현을 위한 아이템 스케치의 기본을 익히고, 착장 포즈를 일러스트레이션으로 나타낼 수 있는 표현력을 학습한다. 

의복구성(2) (Clothing Construction(2))

고품질의 패션상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좋은 소재, 디자인 감각과 더불어 과학적인 봉제 기술은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의복상품을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봉제기법을 직접 의복제작을 실시함으로써 패션의 조형화 과정에서 봉제의 역할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 가능한 지식을 습득한다. 

 

2-1 학기

 

패션디자인 전공

 

패션도식화CAD (Fashion Mapping CAD)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를 활용하여 패션 아이템별 디자인 내용을 설명하는 작업 지시서를 제작하고, 이를 통한 정확한 도식화 작업으로 패션제품 생산과정에서 오차를 줄여 효율적인 생산을 도모하는 능력을 학습한다.

드레이핑 (Draping)

드레이핑은 실제 인체 모형인 인대를 이용하여 3차원적 패턴제작법을 습득, 조형적인 의복의 패턴설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드레이핑의 기본기를 익히고 실습함으로써 기본 아이템인 블라우스 스커트, 원피스등의 패턴을 입체적 방법으로 제작한다.

패션일러스트레이션(2)(Fashion Illustration(2))

패션 아이템의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개성있는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패션디자인의 콘셉트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일러스트레이션의 방법을 학습한다.  

디지털텍스타일디자인 (Digital Textile Design)

어도비 포토샵을 활용하여 텍스타일의 리핏 개념 이해와 텍스타일 패턴 전개방법 습득을 통해 패션제품의 종류별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의 제작 방법을 학습한다.

 

패션비즈니스 전공

 

패션상품기획 (Fashion Merchandising)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패션산업 접근 관점으로 학습을 진행하며, 어패럴 섬유업계에서 패션상품을 개발해 나가는 실제 프로세스를 이론과 병행하여 실습한다.

패션프로젝트(Fashion project)

패션 정보 분석을 통하여 타깃이 되는 패션 브랜드를 기획하고, 시즌 상품의 디자인 개발을 위한 브랜드 컬러, 소재, 아이템 구성을 기획하는 방법을 실제 프로세스를 통해 실습한다.

 

 2-2 학기

 

패션디자인 전공

 

테일러링 (Tailoring)

의복 디자인과 다양한 봉제실기를 경험할 수 있는 고급 테크니컬 의복 제작인 Tailoring을 실습하고, 이 과정을 통하여 피팅과 패턴수정작업, 디테일 봉제작업, 작업지시서 작성 등의 테크니컬 디자인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컬러리스트실무(Colorist Work)

컬러의 기본적 이론과 활용을 학습하고, 패션 디자인을 위한 컬러를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특히 패션 디자인 테마를 바탕으로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해, 컬러 코디네이션을 표현하고, 컬리리스트 자격증 취득을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패션디자인실습(2) (Fashion Design Practice(2))

브랜드 디자인 기획에 적절한 아이디어 구상과 표현방법, 도식화 작업등 현장에서 진행하는 디자인 기획능력을 학습한다.

패브릭디자인실습(Fabric Design Practice)

패션제품 제작을 위한 원단의 가치를 높이고 적용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최신 트렌드 분석 및 리서치를 통해 소비자 욕구에 충족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방법을 학습한다.

 

패션비즈니스 전공

 

IT 패션유통론 (IT Fashion Retailing)

글로벌 패션 마켓속에서 전세계 다양한 브랜드의 패션 비즈니스 모텔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적인 IT-패션비즈니스 모델개발 방법을 학습한다.

패션IT빅데이터 분석(Fashion IT Bigdata Analysis)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변화하는 흐름에 따라서 빅테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들의 흐름을 분석하고 패션 실무현장에서 적용되는 패션 판매분석을 습득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3-1 학기

 

패션디자인 전공

 

캡스톤디자인(1) (Capstone Design (1))

패션디자인학과 전공교과목 및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과제를 기획하고 종합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창의성과 실무능력, 팀웍, 리더십을 배양한다. 이를 통해 팀별 프로젝트를 통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결과물로 만들어 내는 과정을 학습한다.

3D패션디자인실무(3D Fashion Design Practice)

 3D CLO 프로그램을 활용한 패턴 제작, 패턴 수정, 샘플 옷 제작, 가상피팅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해 3D 패션디자인 방법을 실습한다.

패션디자인CAD(Fashion Design CAD)

패션 산업체에서 사용되고 있는 패션CAD 프로그램의 사용방법을 익히고, 상품개발관리 시스템의 기본 요소인 디지털 패션 디자인의 활용법을 배우도록 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패션 디자인의 스케치, 도식화, 디테일, 색채, 패턴, 스타일링 기법을 실습한다.

패션컬러&소재기획(Fashion Color & Fabric plan)

패션 트렌드 분석을 통하여 시즌 디자인 테마를 설정하며, 테마에 맞는 컬러와 소재 구성을 기획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타깃이 되는 브랜드를 설정하여 기획 실무를 실습한다.

 

패션비즈니스 전공

 

패션머천다이징실무(Fashion Merchandising Practice)

패션상품의기획, 디자인, 생산, 제조, 유통에 관련된 패션사업의 구조를 이해하고, 실제 패션업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패션마케팅 기획과정을 학습한다.

온라인쇼핑전략 (On-line Shopping Mall Strategy) 

온라인 패션영업 및 영업기획업무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온라인 쇼핑몰 영업기획을 하기 위한 판매분석 능력을 습득하고, 온라인쇼핑몰 영업기획에서 사용되는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습득한다.

패션바인리테일링(Fashion Buying Retailing)

패션소품유통관리 NCS학습모듈을 기반으로 실무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하며, 어패럴산업계에서 패션제품의 국내외바잉을 진행하는 실무프로세스를 이론과 병행하여 실습한다.

 

3-2 학기

 

패션디자인 전공

 

캡스톤디자인(2) (Capstone Design (2))

패션디자인학과 전공교과목 및 이론을 바탕으로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과제를 대상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기획과 종합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창의성과 실무능력, 팀웍, 리더십을 배양한다. 이를 통해 팀별 프로젝트를 통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결과물로 만들어 내는 과정을 캡스톤디자인(1)과 연결하여 학습한다.

패턴CAD실습(Pattern CAD Practice)

기성복의 대량생산 및 주문 제작공정에 필요한 Pattern CAD System의 종합적 기능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각 공정상의 Pattern Development, Grading Process, Marker Making의 원리와 테크닉들을 국내외의 많은 기성복 생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Pattern CAD System을 학습한다.

패션영상제작(Fashion Video Production)

패션의 스토리와 전달하는 메시지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철학과 영향력이 있는 패션영상을 통한 브랜드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패션 브랜드의 문화와 개성을 이해하고 직접 촬영, 편집, 색보정 등 전반적인  프로덕션 단계를 통해 세련되고 감각적인 영상 제작방법을 학습한다.

패션제품개발 (Fashion Product Production)

패션제품 생산에 필요한 시장환경 및 생산기술 조사를 통해 아이템 구성 및 디자인 스케치를 통해 샘플제작을 실습한다.

 

패션비즈니스 전공

 

패션IT비즈니스창업 (Fashion IT Business Foundation)

패션IT 비즈니스창업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수업 전 과정 이후에 본인의 사업계획서를 최종적으로 작성해 본다. 또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패션 비즈니스 마켓의 현황을 이해하고 온라인 패션비즈니스를 위한 온라인 소핑몰 창업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학습한다.

미디어패션(Media Fashion)

미디어에 나타난 패션 코스튬(Costume)의 역사적 문화적 영향과 작품의 스토리 구조 및 캐릭터를 고찰하고 미디어 패션의 특정한 디자인을 분석하여 통합적인 패션비즈니스 감각을 학습한다.

패션유통실무(Fashion Circulation Skill)

다변화된 패션매장 환경에 근거하여 패션상품에 대한 고도화된 상권조사 방법과 최적화된 상품구성을 학습하고, 매장을 운영 관리함에 있어 판매 촉진 전략 프로세스를 이론과 병행하여 실습한다.

 

 4-1 학기


 

패션디자인, 패션비즈니스 공통

 

글러벌패션실무

디지털 시대에 글로벌 패션시장의 현황을 파악하고 어떻게 변화하는지 학습한다. 또한 그 속에서 패션마케팅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실무 접근방법을 학습한다.

패션스마트팩토리관리

4차 산업혁명의 성장 전략으로 대두되는 스마트 팩토리의 개념과 패션 생산 과정을 이해하고,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적용한 패션 생산관리 계획를 수립하는 과정을 학습한다.

패션온라인MD실무

현재 온라인 패션산업을 이해하고, 패션 온라인 비즈니스에서 점점 중요해지는 패션 온라인 MD의 직무를 학습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패션 온라인 마켓에서 필요로하는 실무 능력을 함양한다.

캡스톤디자인

패션 산업의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중심학습에 기반한 패션 캡스톤디자인을 설계하고, 산업체에서 진행하고 있는 패션 브랜드 개발을 기업과 산학협동으로 진행하여, 패션전공분야에서 학습한 능력을 바탕으로 브랜드 설계, 기획, 작품제작을 진행한다.

 

4-2 학기


 

패션디자인, 패션비즈니스 공통

 

디자인크리틱실무

패션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분석, 종합하는 과정을 통해 패션 디자인 기획방법 및 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현대 패션 디자인의 다양한 변화의 흐름에 대한 분석과 적용 능력을 기르고, 창의적인 디자인 크리틱 능력을 배양한다. 

테크니컬디자인응용실무

패션디자이너 및 바이어와 해외 패턴사 및 생산업체 사이의 윤활제 역할을 하며, 오더가 확정된 의류제품을 디자이너와 바이어가 의도한대로 만들어지록 책임지게 되는 테크니컬 디자이너의 업무를 학습한다. 특히 국내외 패션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3D 가상 의상제작 방법을 활용하여 의류 아이템별 특징을 CLO 3D를 활용하여 실습한다.

창업프로젝트

패션창업을 위한 사업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구체적인 사업계획 수립 및 성공적인 운영 등에 필요한 창업관련 업무를 학습한다. 또한 팀 프로젝트를 통해 실전 패션창업과정을 진행하여 창업역량을 강화한다.

글로벌패션비즈니스

국, 내외 패션시장의 향후 직업 및 비즈니스 기회를 탐색하고, 패션산업의 글로벌 시각화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패션산업의 역사 및 현황, 관련 업무와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학습한다.

상단으로 가기